성장부진으로 진단되었을 경우에는 적절한 원인에 따른 따라잡기 성장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질적 원인이 있는 저신장형 영유아에게 무조건적인 고열량식을 공급하였을 경우에는
신장의 개선이 아닌 단순 비만을 야기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yonsei 100% hospital
저신장증이란?
같은 연령, 같은 성별의 또래 100명 중에서 키 순서로 3번 이내인 경우를 저신장이라고 하며,
또래에 비해 10cm 이상 차이 날 경우 저신장을 의심하게 됩니다. 또한 키가 크는 속도가 중요한데,
3~10세의 어린이가 1년에 4cm 미만으로 자랄 경우는 현재 키가 정상이라도 성장장애가 있다고 봅니다.
1
유전적 저신장
· 가족성 저신장이라고도 하며, 저신장증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 뼈나이는 실제 나이와 같고 사춘기는 정상이거나 약간 빠르게 옵니다.
· 부모 중에 키가 작은 분이 있고, 아이의 최종 키도 유전적인 예측신장과 가깝습니다.
2
체질적 성장지연
· 키가 작지만 뼈나이도 어리고 사춘기도 늦게 옵니다.
· 다른 아이들보다 늦게까지 자라기 때문에 결국 성인신장은 정상 범위에 들어갑니다.
· 부모 중에 체질적 성장지연이었던 분이 반드시 있습니다.
3
터너 증후군
· 여아에서 성염색체의 일부에 이상이 있어 발생합니다.
· 키가 많이 작고 사춘기가 되어도 2차 성징이 나타나지 않으며, 심장과 신장에도 이상이 있을 수 있어 검사가 필요합니다.
· 치료하지 않을 경우 평균 성인신장이 140cm 정도로, 조기에 성장호르몬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4
자궁내 성장지연
· 출생시 체중이 2.5kg 미만으로 작았던 경우에 출생 후 성장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두 돌까지 따라잡기 성장을 하지 못한 경우, 이후에도 계속 작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5
내분비질환에 의한 저신장
· 성장호르몬 결핍증이 대표적이며, 키에 비해 체중은 비교적 많이 나갑니다.
· 그 외에도 갑상선호르몬이나 부신피질호르몬에 이상이 있을 때에도 성장장애가 나타납니다.
6
사춘기조숙
· 사춘기가 너무 빨리 나타날 경우, 처음에는 성장속도가 빨라지고 잘 크는 것 같지만, 성장판이 빨리 닫히고 성장이 일찍 끝나게 되어 최종 키는 작습니다.
7
기타
· 그 외에도 영양 섭취가 부족한 경우, 신부전증, 천식 등 만성 폐질환, 심한 빈혈, 염증성 장질환, 선천성 심장병 등에 의해서도 성장장애가 올 수 있습니다.
yonsei 100% hospital
성장클리닉의 치료대상
성장클리닉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으며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출생 시 임신주수에 비해 체중이 너무 작은 경우
사춘기 전 매년 최소 4cm 이상 자라지 않는 경우
키가 작은 편인데 사춘기는 또래보다 빠른 경우
yonsei 100% hospital
성장클리닉 주의사항
1
성장판이 아직 열려 있어야만 성장호르몬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저신장형 영유아에게 무조건적인 고열량식을 공급하는 경우 오히려 성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yonsei 100% hospital
성장클리닉 치료방법
성장부진으로 진단되었을 경우에는 무조건적인 과잉 영양이나 보약 등을 통한 개선이 아닌,
적절한 원인에 따른 따라잡기 성장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장 부진이 확인되면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균형 잡힌 식생활과 적절한 운동입니다.
운동치료
운동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운동은 달리기, 줄넘기, 수영, 배구,
테니스, 탁구, 배드민턴 등이 좋습니다.
성장호르몬 치료
성장호르몬 결핍증, 저체중 출생아
병력이 있는 경우에 시행하며,
특발성 중추성 성조숙증인 경우
뼈 나이가 빨라지는 것을 조절합니다.
영양치료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잘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을 골고루
필요한 만큼 섭취하여야 합니다.